가난은 끝났지만, 공허는 시작됐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가난은 끝났지만, 공허는 시작됐다
“나는 이제 더 이상 가난하지 않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더는 만족스럽지도 않다.”
소득은 늘었지만, 만족은 줄었다
한국 사회는 지난 20년간 가파른 경제 성장을 이루어냈습니다.
평균 소득은 증가했고, 신용카드 한 장이면 대부분의 소비가 가능해졌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생존을 위해 ‘먹고 사는 문제’로 고민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다른 종류의 결핍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감정적 가난’, ‘정체성의 공허’**입니다.
풍요 속의 불행: 소비는 나를 채워주지 못한다
과거의 가난은 현실적인 결핍이었다면,
지금의 공허는 정서적 결핍입니다.
-
명품을 사도, SNS에 올려도, 마음은 허하다.
-
더 좋은 집, 더 좋은 차를 가지지만, 사람과의 대화는 피곤하다.
-
경제적 자유를 얻었는데, 오히려 삶의 방향이 더 흐려진다.
이제 우리는 **“왜 사는가”보다 “어떻게 살아야 덜 외로울까”**를 묻는 시대에 진입했습니다.
비교는 늘고, 감정은 닳는다
SNS 시대는 개인의 소비를 정체성의 수단으로 바꾸어버렸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필요해서’ 소비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비교에 지지 않기 위해, 소속되기 위해, 존재감을 증명하기 위해 씁니다.
그러다 보니,
‘소비한 만큼 공허해지고’, ‘살수록 자아는 희미해지는’ 역설에 빠지고 맙니다.
정체성 피로: '나는 누구인가'를 사고 있는 시대
-
물건이 나를 설명한다.
-
직업이 나를 정의한다.
-
월 소득이 나의 가치가 된다.
-
좋아요 수가 나의 존재감을 대변한다.
하지만 진짜 자아는 그 어디에도 없습니다.
자아가 아니라, 타인의 기준에 맞춘 '퍼포먼스'만 남습니다.
돈이 줄 수 없는 것들
돈으로 해결되지 않는 것들이 있습니다:
-
관계 – 억지로 만드는 인간관계는 지치게 할 뿐입니다.
-
의미 – 반복되는 소비 속에서 '왜 하는가'는 자주 생략됩니다.
-
정서 – 혼자 있는 시간에 조용히 살아있다고 느끼는 감정.
-
몰입 – 돈이 아닌, **‘무언가에 빠져 있는 상태’**가 주는 충만감.
진짜 부유함은 무엇인가
‘부자’라는 개념을 다시 정의해야 합니다.
그건 통장 잔고가 아니라,
삶을 구성하는 정서적 안정, 관계의 질, 의미 있는 하루의 반복입니다.
-
아무에게도 휘둘리지 않고 하루를 설계할 수 있는 자유
-
목적 없이 스크롤하지 않아도 되는 몰입
-
소비 없이도 충분한 감정의 충만함
-
그리고, 자기답게 살고 있다는 명확한 실감
이것이 우리가 진짜로 찾아야 할 **'포스트 가난 시대의 자산'**입니다.
마무리하며
“더 이상 굶지는 않지만,
우리는 여전히 배고프다 — 마음이.”
소득은 해결되었지만,
삶의 이유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그 공백을 메우는 일은 더 이상 돈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건 의미와 감정, 연결과 방향의 문제입니다.
당신의 오늘 하루,
그 안에 ‘내가 왜 사는지’에 대한 힌트는 있었습니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