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6시간씩 일해서 다 갚았는데"…113만명 빚 탕감 논란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재명 정부 '부채 탕감' 정책, 어떻게 추진되나?
이재명 정부는 내년부터 약 113만 명의 개인 채무(7년 이상 연체, 5,000만 원 이하 무담보 채권, 총 16조 4,000억 원)를 소각하거나 감면하는 대규모 부채 탕감 정책에 착수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위소득 60% 이하 저소득층은 채권 전액을 소각
-
상환 가능자는 원금 최대 80% 감면, 나머지는 10년 분할 상환
-
소상공인 전용(새출발기금): 총채무 1억 이하, 중위소득 60% 이하 대상 – 연체 원금 최대 90% 감면, 10만 1,000명, 채무 6조 2,000억 감면
-
재원 조달: 추경 4,000억 원 + 금융권 출연 4,000억 원, 총 8,000억 원 마련 예정
금융위는 이 정책의 배경에 대해 “코로나, 고금리 충격으로 빚을 감당 못 하는저소득층·소상공인을 위해 빠른 부채 정리와 경제적 재기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사회적 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공감 vs. 반발: 사회적 찬반 여론
찬성 여론
-
“채무가 삶을 짓누르는 사례가 많다. 완전 소각이 사회 전환과 재기의 관문”
-
“채무 탕감이 도덕적 해이로 연결된다고 보기 어렵다. 다양한 개인 사정 때문에 채무가 발생했다”
반대 목소리
-
“꾸준히 빚 갚아온 이들이 역차별 받는다”
-
“‘갚을 여력이 없는 채무자만 보호’라고? 그 정도면 사업 접고 다른 길 찾아야”
-
“소상공인도 고령화·저출산·소비 감소가 원인인데, 채무 탕감이 해결책이냐”
이재명 대통령 지지층 내부에서도 “성실하게 상환해온 사람들은 바보가 되는 셈”이라는 항의가 거세게 일며, ‘도덕적 해이’ 우려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전 정부 사례는 어땠나?
부채 탕감 정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
문재인 정부(2018~): 1,000만 원 이하, 10년 이상 연체자 대상 100% 탕감 추진(~6조 원 규모)
-
윤석열 정부: 소상공인 위한 ‘새출발기금’으로 194만 원 평균 부채 감면
-
박근혜 정부: ‘국민행복기금’ 통해 채무 50~70% 감면
-
이명박 정부: ‘신용회복기금’을 운영하며 이자 감면 및 연체 회복 지원
그러나 대부분 일시적인 효과에 그쳤고, 감면 후 재대출로 다시 부채가 늘어나며 ‘재부채’ 악순환 문제가 반복되었습니다
한편, 금융당국은 KDI·한은 연구 기관 보고서를 인용, 채무 조정이 장기적으로 재연체율이나 자영업자 생존율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근거를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왜 구조 개혁이 중요한가?
비판적 시각은 이걸 ‘밴드에만 의존한 정책’이라 부릅니다.
문제점 요약:
-
일시적 효과 → 다시 빚 확대
-
도덕적 해이 발생 가능
-
형평성 문제: 성실 갚은 이들의 박탈감
-
재정 부담 한계: 8천억 재원 지속 조성과 은행 출연 문제
전문가 제언:
-
김현열 연구위원(KDI): “채무·고용·복지를 연계해 근본적 소득·재정 기반 체력 개선 필요
-
한은 발표: “취약 자영업자 연체율, 2020년 7.4%→2024년 11%로 상승 추세”로 재부채 위험 경고
결론: 정책 효과 극대화 위한 조건
-
단기: 채무 소각·감면으로 즉각적 경제 여건 완화
-
중기: 성실 상환자 배려와 ‘역차별’ 문제 해소
-
장기: 구조 개혁 기반 마련 – 일자리·소득 안정, 금융교육 강화, 중소기업 지원
이재명 정부의 탕감 정책은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계층에 실질적 지원이지만, ‘도덕적 해이’ 문제와 성실 상환자 역차별 우려가 상존합니다.
정책의 지속성과 효과를 위해서는 ’한꺼번에 아닌 연속적인 구조 개혁‘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정부는 채무 감면 + 상환자 보호 + 고용·복지·금융교육 등 3축 정책으로 연쇄적 효과를 노려야 할 것입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